건축·인테리어 업계를 목표로 하는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건축·인테리어 업계를 목표로 하는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날짜 : 2009-08-25 16:02:57 글쓴이 : 도꼬모 조회수: 1047

본  내용은 일본인 수험생을 위한 자료를 인용하였기 때문에, 유학생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의 진학과 진로에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건축·인테리어계 학부로 진학?

「건축 관련 일을 하기 위해서는, 공학부 건축학과」
말 그대로 이다. 이공계학부 중에서도 건축학과의 인기는 높다.  건축학과 출신자 중, 건축관련 기업이나 사무소에 취직하는 학생은 많아봐야 40% 정도라고 한다. 40%는 커녕 고작해야 20%라는 의견도 있다. 건축학과는 다른 이공학부·학과처럼 과제나 실험이 많다. 단순히 건축사가 되고 싶다라는 생각으로 입학한 학생은 엄청난 과제의 양에 놀라서 공부도 적당히 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한다. 대학·전문학교의 건축계학과를 졸업하면 2급건축사 수험자격이 주어진다. 다만, 대학·전문학교 졸업자만이 안니라 실무경험 7년도 수험자격은 주어진다. 합격자도 실무경험자가 3~40%를 차지한다. 건축사로서 독립개업을 하려면 1급건축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더욱 실무경험을 거침으로써 수험자격을 취득한다. 1급건축사시험의 합격률은 10% 선으로 낮다. 그렇게 어렵게 건축사가 되어 독립해도 연수입은 그다지 높지않다고 한다. 건축사의 반 이상은 회사원의 평균을 밑도는 연수500만엔 이하의 수준에 머무른다는 데이터도 있다.

2.건축학과 이외에서도 괜찮은지?

건축학과라고 명칭이 붙어있는 것만이 건축·인테리어계학부는 아니다. 아래와 같은 학부에서도 건축·인테리어에 대해서 공부할 수 있다. 만약에 건축사에 연연하지 않는다면 선택의 폭이 꽤 많다라는 것을 알아둬서 손해볼 일은 없다.

1. 미술계학부
    건축학과가 있는 미술대학도 있다. 하지만 건축학과가 아니더라도 디자인관련의 학과를 졸업하면 인테리어 관련 일이 가능하다.

2. 경제·경영·상·법학부
    건축사로서가 아니라 부동산·주택메이커 등의 영업과 관련된 것이라면 건축학과보다 경제계학부 출신자가 많다. 법률에 상세한 학생도 중요시되고 있다.

3.농·원예계학부
    농학을 토대로하지만 환경디자인 등을 배울 수 있다.

3.전문학교

전문학교에도 건축·인테리어관련이 있다. 기업도 공업계 기술직으로 중요시되며 단기대 졸업자 수준의 취급을 받는다. 2년간으로 2급 건축사를 취득할 수 있으며 바로 취직하여 실무경험을 쌓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1급건축사는 2년간의 실무경험을 쌓게 되므로 대졸과 같은 4년 후에 된다.  

4.대학정보

홋카이도대학 공학부 환경사회공학과는 시빌엔지니어링, 국토정책학, 건축도시, 위생환경공학, 자원순환시스템의 5코스가 있다. 무로란공업대학 공학부 건축사회기반계학과는 2년차에 건축이나 토목공학의 코스를 선택한다. 삽포로시립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학과 공간디자인코스에서는 1급건축사 시험수험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단, 졸업 후 실무경험이 필요하다.) 홋카이도공업대학 공간창조학부는 건축, 도시환경의 2학과가 있다. 도호쿠대학 공학부 건축·사회환경공학과는 사회기반디자인, 물환경디자인, 도시시스템계획, 도시·건축디자인, 도시·건축학의 5코스이다. 도호쿠공업대학 공학부에는 건축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등이 있다. 라이프디자인학부 안전심생활디자인학과에서도 졸업후 2년의 실무경험으로 2급건축사 수험자격이 주어진다. 크리에이티브디자인학과에서는 자동차나 가구의 디자인 등을 배울 수 있다. 동경대학 공학부에는 토목건축계로서 사회기반, 건축, 도시공학의 3학과가 있다. 동경예술대학 미술학부 건축과는 미술학의 시점으로 구미적인 건축학을 배울 수 있다. 건축분야에서는 가장 입학하기 어려운 대학의 1. 동경공업대학 공학부에는 토목·환경공, 건축 등의 학과가 있다. 교리츠여자대학 가정학부에는 건축·디자인학과가 있다. 게이오대학에서는 이공학부 시스템디자인공학과에서 1급건축사 수험자격이 주어진다. 고쿠시칸대학 이공학부에는 건축학계, 도시랜드스케이프학계가 있다. 짓센여자대학 생활과학부 생활환경학과에는 프로덕트·인테리어코스, 주환경디자인코스가 있다. 시바우라공업대학은 공학부에 토목공, 건축, 건축공학과, 시스템이공학부에 환경시스템학과, 디자인공학부에 건축·공간디자인 영역이 있다. 쇼와여자대학 생활과학부 호나경디자인학과는 디자인프로듀스, 건축·인테리어디자인, 프로덕트디자인, 복식매니지먼트의 4코스가 있다. 타마미술대학 미술학부 환경디자인학과는 인테리어, 건축, 랜드스케이프를 배울 수 있다. 중앙대학 이공학부 도시환경학과의 전신은 토목공학과이다. 동경조형대학 조형학부 디자인학과에는 실내건축전공영역이 있다. 동경도시대학 공학부에는 건축학과, 도시공학과가 있다. 환경정보학부, 도시생활학부에서는 문과계 학생도 도시환경 공부가 가능하다. 동경이과대학은 공학부에 건축학과, 이공학부에 건축, 토목공학과가 있다. 도요대학은 공학부에 도시환경디자인, 건축학과가 있다. 라이프디자인학부에는 인간환경디자인학과가 잇으며 환경디자인코스만 1급건축사를 목표로 할 수 있다. 니혼대학 이공학부는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사회교통공학과, 해양건축공학과 등이 있으며 건설업계에서의 지위는 높다. 대학원 이공학 연구과에는 드물게 부동산과학전공이 있다. 니혼대학 예술학부 디자인학과는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인터스트리얼디자인, 건축디자인의 3코스가 있으며 규모는 작지만 평가는 높다. 호세이대학 디자인공학부는 건축, 도시환경디자인공, 시스템디자인의 3학과가 있다. 무사시노대학 환경학부 환경학과에는 주거환경전공이 있으며 1급건축사를 목표로 할 수 있다. 메이지대학 이공학부에 건축학과가 있다. 와세다대학 기간이공학부 표현공학과는 디자인을 배울 수 있다. 창조이공학부에 건축학과, 사회환경공학과가 있다. 요코하마국립대학 공학부 건설학과는 시빌엔지니어링, 건축학, 해양공간 시스템디자인의 3코스가 있다. 가나가와대학 공학부에는 건축학과가 있다. 일본공업대학 공학부에는 건축학과 이외에도 생활환경디자인학과 깄으며 주거환경이나 인테리어디자인을 배울 수 있다. 치바대학 공학부는 건축학과, 도시환경시스템학과, 디자인학과의 3학과가 있으며 연구층이 두텁다. 원예학부 녹지환경학과에는 환경조원학 프로그램이 있으며 도시환경디자인을 배울 수 있다. 메이카이대학 부동산학부는 일본 유일의 학부. 건축학도 어느 정도 배울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인문계학부이므로 목표로 하는 자격은 택지건물거래주임자이다. 다른 대학에 유사학부가 생기지 않는 다는 것은 아마도 기존의 학부학과에서 충분히 다루고 있기때문인지오 모른다.  이바라키대학 공학부에는 토목계의 도시시스템공학과가 있다. 쓰쿠바대학 이공학군은 공학시스템학류 환경개발공학주전공에서 건축학, 방재공학, 토목공학등을 배울 수 있으며, 사회공학류에 도시계획주전공이 있다. 예술전문학군 디자인주전공에 정보디자인, ㅡ로덕트디자인, 환경디자인, 건축디자인의 4영역이 있으며 1급건축사 수험자격이 주어진다. 아시카가공업대학 공학부에는 건축학과, 도시환경공학과가 있다. 리츠메이칸대학 이공학부에는 토목계의 도시시스템학과가 있다. 오사카시립대학은 공학부에 건축학과, 도시학과가 있으며, 생활과학부에 거주환경학과가 있다. 오사카예술대학 예술학부에는 건축학과, 디자인학과, 환경디자인학과 등이 있다. 환경디자인학과는 2급건축사를 취득할 수 있다. 오사카공업대학은 공학부에 건축학과, 도시디자인공학과, 공간디자인학과가 있다. 공간디자인학과는 건축이나 인테리어디자인을 배울 수 있으며 1급건축사를 목표로 할 수 있다. 간사이대학 환경도시공학부에는 건축학과, 도시시스템공학과가 있다. 긴키대학 이공학부에는 사회환경공학과, 건축학과가 있다. 고베대학 공학부에는 건축학과, 시민공학과(토목계)등이 있다. 간세이가쿠인대학 종합정책학부 도시정책학과는 1급건축사를 목표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어 있다.   

5.한마디

건축인테리어 분야의 전문학교로는 동경이라면 중앙공학교, 아사노공학전문학교, 아오야마제도전문학교, 일본공학원전문학교 등이 알려져 있다. 2년간으로 2급건축사를 취득할 수 있으며 4년제 고도전문사 학과도 생기고 있다. 중앙공학교는 100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전문학교는 자격취득의 실무교육을 철저히 하고 있으며 대학보다 전문학교 쪽이 자신에게 맞는다고 선택하는 학생도 있지만 취직처의 선택의 폭을 넓히려면 통상적으로는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 학생은 전문학교에는 안가는 것이 현실이다.

자료번역 및 참조도서:大学進学·就活進路図鑑(光文社, 石渡嶺司)

⊙ 홈페이지 : http://www.docomouhak.com/community/reserv.html, hit:241




1/2, 총 게시물 : 37
번호 제 목 글쓴이 조회 날짜
37 가정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637 2010-02-27
36 경제·경영·상학 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3411 2010-02-27
35 공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2130 2010-02-27
34 교육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660 2010-02-27
33 국제관계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2051 2010-02-27
32 농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842 2010-02-27
31 문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846 2010-02-27
30 문화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657 2010-02-27
29 법률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665 2010-02-27
28 보건위생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785 2010-02-27
27 복지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530 2010-02-27
26 사회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784 2010-02-27
25 수의축산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908 2010-02-27
24 스포츠과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925 2010-02-27
23 심리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3016 2010-02-27
22 약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2452 2010-02-27
21 어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733 2010-02-27
20 역사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859 2010-02-27
19 예술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2150 2010-02-27
18 의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2542 2010-02-27

1 | 2 | 마지막

이름 제목 내용 and조건으로